2007_잊혀진이름_전시사진 이 사진의 저작권은 김효산에게 있습니다. 퍼가는 것을 막을수는 없지만 혹시 퍼가더라도 출처와 저작권에 관한 표기를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김효산 사진/2007_잊혀진이름 2009.05.24
2007_잊혀진이름_10 십자가의탑(十字架の塔) 후쿠오카현 온가군(福岡県 遠賀郡) 2차 대전 당시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지역에서 끌려와 미즈마키 타카마츠 탄광에서 일하다 희생당한 연합군 포로 노동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종전 후 전범 재판을 앞두고 조사위원회가 도착하기 직전에 급하게 세워졌다가 후에 1987년 4월 1일.. 김효산 사진/2007_잊혀진이름 2009.05.24
2007_잊혀진이름_09 탄압 그리고... 아베정권 출범 이후 우리학교와 교직원, 학생들에 대한 시설파손, 협박전화, 폭행 등의 피해 사례가 수없이 집계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학교 여학생들의 치마를 칼로 찢거나 폭언을 행하는 일이 빈번해지고, 등하교시 집단폭행이 무차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일본 정부는 .. 김효산 사진/2007_잊혀진이름 2009.05.24
2007_잊혀진이름_08 우리학교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되자 240만명 정도 있었던 재일조선인들은 해방의 기쁨을 안고 조국으로 돌아오기 시작했으며, 남은 동포들의 대부분도 귀국을 희망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군정의 실시, 해방직후의 정치경제적 혼란, 물가의 폭동 등 조선반도에서 일어난 모든 번잡한 제상황은 귀국을 .. 김효산 사진/2007_잊혀진이름 2009.05.24
2007_잊혀진이름_07 우키시마호추도비(浮島丸追悼碑) 쿄토부 마이즈루시(京都府 舞鶴市) 1945년 8월 24일 17시20분경, 쿄토부 마이즈루시 사바카 앞바다에서 해군특설 수송함 우카시마호가 의문의 폭발사고로 침몰하여 승무원 승객 549명이 사망한 사건이 일어났다. 우카시마호에는 아오모리 지역의 조선인 노동자와 그 가.. 김효산 사진/2007_잊혀진이름 2009.05.24
2007_잊혀진이름_06 유텐지(祐天寺) 도쿄도 메구로구(東京都 目黑区) 유텐지는 일본 도쿄 메구로구에 소재한 사찰로 이 절에는 태평양전쟁 당시 일제에 의해 군인, 군속으로 강제연행 되었다가 전쟁터 등지에서 희생되거나, 해방 직후 귀환선인 우키시마호에 승선하였다가 교토 마이즈루항 부근에서 발생한 폭침 사고로 .. 김효산 사진/2007_잊혀진이름 2009.05.24
2007_잊혀진이름_05 오다야마묘지(小田山墓地)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福岡県 北九州市) 1945년 일본의 패전에 의해 해방된 많은 조선인들은 귀국을 시작하지만, 귀환 업무의 미비로 귀국선을 타는 일은 힘든 것이었다. 1945년 9월 17일 와카마츠항에서 일단의 조선인들이 60t 정도의 목선을 타고 귀국길에 올랐으나 때마침 .. 김효산 사진/2007_잊혀진이름 2009.05.24
2007_잊혀진이름_04 우토로(ウトロ) 교토부 우지시(京都府 宇治市) 1941년 교토 군사비행장 건설을 위해 약 1,300명의 조선인 노동자를 징용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1945년 8월 일본이 패전하면서 비행장 건설이 중단되고 조선인의 다수는 귀국을 서둘렀으나 배삯을 마련하지 못하거나 돌아가면 살길이 막막한 사람들.. 김효산 사진/2007_잊혀진이름 2009.05.24
2007_잊혀진이름_03 야하타제철소(八幡製鐵所)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福岡県 北九州市) 1896년 가결된 '관영제철소 건설안'에 따라 이듬해 청일전쟁에서 전승 배상금으로 '철은 곧 국가'라는 당시 모토 아래 후쿠오카현 야하타(현 기타큐슈시)에 건설되었다. 1901년 조업이 시작되었으며 전국 생산의 70-80%를 점했다. 1934년 .. 김효산 사진/2007_잊혀진이름 2009.05.24
2007_잊혀진이름_02 타가와시 석탄․역사박물관(田川市 石炭․歴史博物館) 후쿠오카현 타가와시(福岡県 田川市) 치쿠호 지방에는 메이지 이전부터 많은 소규모 탄광이 있었으며, 이 타가와 지역에는 메이지 말기에 미쯔이광산이 진출한 것을 시작으로 대규모 개발이 행하여졌다. 미쯔이타가와탄광은 1969년에 폐광 되었.. 김효산 사진/2007_잊혀진이름 2009.05.24